본문 바로가기
시사 및 트렌드

3월 12일 경제 이슈 및 경제 지수 분석

by PLATINUMREVIEW 2023. 3. 12.
728x90

 

 

 

3월 12일 주요 경제 이슈를 보겠습니다.

 

파월의 금리인상에 대한 발표로 전 세계가 주목을 하고 있습니다.

금리인상이라 하면 긴축정책이며 특히 미국의 금리 인상은

환율급등을 불러일으킵니다.

 

IMF와 같은 외환위기가 올 수 있다는 설도 생기고 있는 상황에

많은 분들은 재테크를 꿈꾸고 많은 분들이 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말 많은 분들이 부동산, 주식은 존버(하락장에 무조건 버틴다)라는 방식으로

투자하는데 이것이 아주 큰 손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관점으로 봤을 때 

현재 한국의 무역적자(수출 대비 수입이 증가)로 인하여

경제 자체가 안 좋은 상황입니다.

러시아발 에너지가 어떻게 풀릴지도 모르고

그렇다고 한국산 제품의 수출 지수도 끝없이 상승할 상황이 아닙니다.

이는, 달러 강세에 엔화 약세 한화 약세 위안화 약세는 우리뿐만이 아니라

일본, 중국의 수출 제품의 가격이 떨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한국의 반도체의 경쟁력을 중국이 아주 빠른 속도로 따라잡고 있습니다.(반도체 지수 참고)

 

이런 상황에서 금리가 오른 상황에서는 달러의 가치가 급등(해외의 달러가 미국으로 유입:왜? 금리가 높으니까)

함으로 인하여  한국도 따라 금리를 올리면 되지 않느냐?라는 부분으로 생각하 실 수도 있는데

한국이 미국과 따라 금리를 올리면 기존의 부채에 대한 이자 비용의 급등으로

신규 투자금의 폭락과 함께 장기적인 경기침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한국은행조차 함부로 금리를 올릴 수 없는 상황입니다.

 

현재 주식, 부동산 등 모든 재테크에 대한 "투자 유의"관점을 보유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현재 많은 경제 수치 하락으로 일명 밑바닥 잡기로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선물 거래 시장의 단타(단기 투자) 시장으로 난도가 높은 시장입니다.

 

현물의 LONG을 잡기에도 어려운 상황.

그리고 선물의 SHORT을 잡기에도 현재 금리 발표가 확실치 않아서

불안한 상황입니다.

 

이런 불안한 상황에서는 제 관점에서는 관망을 유지하며

부동산 역시 구매를 망설이시는 분들에게는 아직 관망을 추천드립니다.

 

미국 파월의장의 추가 금리인상 폭을 보고 투자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금리인상 폭이 높으면 한국 역시 기준금리에 대한 금리인상을 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이는 이자비용의 급상승을 불러일으키며

국내 부동산 시장의 급격한 하락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부동산 가격 하락 중

-경기는 살아나고 있지 않음. 

-한국의 삼성 및 SK발 반도체 특수효과는 점점 낙폭을 보이고 있음(중국 반도체 경쟁력 상승 중)

-아시아 전체의 통화 약세장 지속

-한국의 외환 위기 가능성 배제할 수 없음

-미국 기준금리 상승 상황에 따라 상승폭이 높으면 한국의 금리 인상도 불가피->한국의 경제 침체 우려

 -> 각종 경제 지표 하락 가능성 있음

-현재는 투자관점을 관망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보임.

 

 

*향후 체크 필요 사항*

-달러 하락 시작 + 기준금리 동결 + 무역경상지수 확인 + 국내 기준금리 동결확인

-> 이후 밑바닥 분할매수(원금 50% 현금 + 10%씩 분할 매수)

-하락장에 자신 있는 단타 전문가는 현재 돌입하여 SHORT포지션으로 2분이네 익절 진행

 (고배율 청산 위험 매우 높음)

 

반응형

댓글